맨위로가기

에글린턴 웨스트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글린턴 웨스트역은 캐나다 토론토의 지하철역으로, 1978년 1호선 개통과 함께 운영을 시작했다. 이 역은 5호선 에글린턴 선의 환승역으로 계획되었으나, 1995년 계획이 취소되었다. 2005년부터 휠체어 접근이 가능하며, 2012년에는 주차장이 폐쇄되었다. 5호선 공사로 인해 역 주변이 변화했으며, 2024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역명 변경 논란이 있었으며, 건축 양식과 미술 작품을 갖추고 있다. 주변 지역으로는 요크-에글린턴 BIA, 리틀 자메이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호선 에글린턴 - 아이온뷰역
    아이온뷰역은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의 역으로, 5호선 개통 시 34번 에글린턴 버스와 연결되어 마운트데니스역과 케네디역을 잇고, 동쪽으로는 로렌스 파크 역, 서쪽으로는 데이비스빌 역과 인접해 있다.
  • 5호선 에글린턴 - 사이언스 센터역
    사이언스 센터역은 돈밀스 로드와 에글린턴 애비뉴 교차로의 온타리오 과학관 인근에 위치한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된 역으로, 자전거 거치대, 버스 터미널 연결 통로, 사라 모리스의 공공 미술 작품, 루버가 설치된 외관을 갖춘 주요 환승역이다.
  • 영-유니버시티 선 - 세인트패트릭역
    세인트패트릭역은 키치너 선 광역철도, TTC 버스, 505번 던다스 노면 전차가 지나고 지하철 1호선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대중교통 환승역으로, 주변에 성 패트릭 성당, 미술관, 박물관 등 다양한 명소가 있으며 접근성 및 플랫폼 외관 개선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영-유니버시티 선 - 세인트조지역
    세인트조지역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토론토 대학교 인근에 위치하여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며, 폴 아서가 디자인한 표지판과 접근성 및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1978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1978년 개업한 철도역 - 서창역
    서창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오송선이 분기하는 화물 전용 신호장으로, 화물열차 운행 효율성을 위해 6개의 선로를 갖추고 있으며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인근에 위치한다.
에글린턴 웨스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1호선 에글린턴 웨스트역 승강장
1호선 에글린턴 웨스트역 승강장
주소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에글린턴 애비뉴 웨스트 1300번지
좌표43.699209° N, 79.435819° W
개업일 (1호선)1978년 1월 28일
개업일 (5호선)2024년
건축가아서 에릭슨
클리포드 & 로리
접근성
승객 수}}
웹사이트에글린턴 웨스트역 공식 웹페이지
구조
형태지하 / 지상
승강장1호선: 상대식 승강장
5호선: 섬식 승강장
선로1호선: 2개
5호선: 2개
서비스
미래 서비스
기타 정보
버스 환승에글린턴 웨스트
오싱턴
라니
" 에글린턴 웨스트"
" 오싱턴"
5호선 관련
역명 변경 (예정)에글린턴 웨스트역에서 시더베일역으로 변경 예정
공사 중인 5호선 시더베일역 정문 (2023년 4월)
공사 중인 5호선 시더베일역 정문 (2023년 4월)

2. 역사

1978년, 이 역은 1호선세인트 조지 역에서 윌슨 역까지 연장 구간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1980년대토론토 교통국 (TTC)은 '네트워크 2011' 계획을 통해 세 개의 새로운 지하철 노선을 제안했는데, 그 중 하나가 에글린턴 웨스트 선(에글린턴 크로스 타운 선과는 다름)이었다.[19] 이 노선은 에글린턴 웨스트역을 주요 환승역으로 삼아 서쪽으로 뻗어나갈 예정이었다. 1985년에 발표된 이 계획은 에글린턴 애비뉴를 따라 버스 전용 도로를 건설하고, 나중에 지하철로 전환하는 방안을 포함했다.[14]

1994년, 온타리오주 정부의 지원으로 에글린턴 웨스트 선 지하철 공사가 실제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95년, 마이크 해리스가 이끄는 온타리오 진보보수당 정부가 선출되면서 이 프로젝트는 취소되었고, 역 아래에 굴착되었던 일부 터널은 다시 메워졌다.[19]

2005년 10월부터 이 역은 휠체어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3]

2007년, 토론토시는 트랜싯 시티 계획을 발표하면서 에글린턴 애비뉴를 따라 경전철을 건설하는 계획을 포함시켰다.[20] 2010년, 롭 포드 토론토 시장의 취임으로 트랜싯 시티 계획이 취소될 위기에 처했으나,[20] 에글린턴 경전철 공사는 계속 진행되었다.

2012년 12월, 에글린턴 애비뉴 북쪽에 있던 환승 주차장에 경전철 공사를 위한 터널굴착기가 들어서면서 환승 주차장이 폐쇄되었다.[22] 본격적인 공사는 2013년에 경전철 터널을 굴착하면서 시작되었다.[23] 역 내부 공사는 터널 굴착이 끝난 2017년 초반부터 시작하였으며,[23] 2023년에도 한창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5년 4월 18일과 19일 주말에 터널굴착기 데니스와 리아는 동쪽 스테이징 지역에서 인출된 후 대형 트럭 트레일러에 실려 서쪽 스테이징 지역에서 재출발했다.[5] 두 스테이징 지역은 각각 새로운 역 입구의 위치가 될 것이다.[7]

5호선 시더베일역 신규 출입구

2. 1. 초기 역사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에글린턴 애비뉴는 1794년에 영 스트리트가 심코호까지 이어지면서 놓여진 토론토의 세 번째 동서축 측량 도로이다.[14] 1850년에 이 지역은 새로 설립된 지자체인 요크 타운십의 에글린턴빌리지로 알려져 있었다.[14]

영 스트리트 서쪽과 블루어 스트리트 북쪽에 있는 요크 타운십은 역사적으로 이민자들이 머물렀던 곳으로, 20세기 초반에는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독일계 이주민들이 세인트클레어 남쪽에 머물렀고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캐나다인을 포함한 흑인들이 요크 타운십 서쪽에 살고 있었다.[15] 에글린턴 웨스트 지역에는 자메이카를 포함한 카리브해 등지에서 캐나다로 건너온 이민자들이 정착하였는데, 이 지역에는 여전히 흑인과 다른 유색인종들의 비중이 높으며 이는 주거 차별에 따라 흑인 인구가 특정 지역에 몰리게 되었다.[16]

2. 2. 대중교통 확장 (20세기 중반)

요크 타운십에는 철도 연선을 따라 이민자들이 다수 정착하면서 대중교통 확장이 필요해졌다. 1924년 11월 19일, 토론토 교통국은 길버트 애비뉴에서 에글린턴 애비뉴를 따라 동쪽으로, 오크우드를 따라 남쪽으로 세인트클레어 애비뉴까지 노면 전차를 운행하기 시작했다.[17] 1930년에는 에글린턴 버스가 운행을 시작했고, 1936년 10월에는 영에서 오크우드까지 에글린턴 웨스트 버스도 운행하였다.[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토론토가 팽창하면서 에글린턴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1930년대 말과 1940년대 초반에는 페이프와 댄포스에서 에글린턴 애비뉴의 길버트 루프까지 노면 전차를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하였으나 이는 무산되었다.[18] 1954년 3월 30일에 영 지하철이 개통하면서 에글린턴에는 버스가 자리를 잡게 되었다.[18] 1960년 1월, 토론토 교통국은 오크우드 노면 전차 운행이 중단되면서 길버트 루프에서 에글린턴역까지 운행하는 32번 에글린턴 웨스트 버스를 트롤리버스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는 포레스트힐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8]

2. 3. 스파다이나 고속도로와 지하철 계획 (1940년대 ~ 1970년대)

1940년대부터 토론토시는 시내와 북서쪽 교외 지역을 잇는 새로운 간선 도로를 구상하고 있었다. 스파다이나 로드를 북쪽과 서쪽으로 연장해서 401번 고속도로까지 이어지는 이 도로는 이후 50년대에 고속도로로 격상되었다. 스파다이나 고속도로 (Spadina Expressway)로 알려진 이 고속도로 계획안에 따르면 노드하이머하천과 카사로마 바로 밑으로 시내까지 고속도로가 지어질 예정이었다.[19] 통합시의 자가용 중심 도시 계획은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 이와 동시에 토론토 교통국 (TTC)이 노면전차의 운행을 전면 중단하기로 하면서 60년대 말과 70년대 초반에 고속도로 건설과 노면전차 폐지를 반대하는 항의 시위가 계속 이어졌고 이에 따라 TTC는 노면전차 폐지를 일부 철회하였다.[19] 또한 고속도로를 반대하는 시내 정치인들이 시의회에 대거 입성하여 고속도로에 찬성하는 교외 정치인들과 대립하였다. 온타리오주는 시내 정치인들의 편을 들어 스파다이나 고속도로는 에글린턴 애비뉴에서 삽을 멈추었다.[19]

1960년대시카고가 1950년대에 아이젠하워 고속도로 중심부에 지하철을 지은 것처럼 토론토도 스파다이나 고속도로 중심부에 지하철을 짓는 계획이 거론되었다. 교외 정치인들은 통합시 북서쪽에 지하철을 놓는 방안에 대해 찬성하였고 고속도로 중심부에 지하철을 놓으면서 비용이 절감되는 점도 감안하였다. 토론토 교통국 또한 스파다이나 지하철이 영 지하철의 승객을 어느정도 분산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였다.[19] 하지만 토론토시는 지하철을 새로 놓아야 할 곳이 있다면 다른 곳이 아니라 퀸 스트리트에 지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19] 이후 주정부는 통합시 구조를 바꾸어 13개 지자체를 6개로 통합하였고 나머지 교외 지자체가 과반을 차지하도록 하였다.[19] 이에 따라 스파다이나 지하철은 영 지하철 연장 다음으로 중요한 우선 순위가 되었고 퀸 지하철이 그 다음에 지어지게 되었는데, 퀸 지하철은 결국 지어지지 않았다.[19]

1978년, 이 역은 세인트 조지 역에서 윌슨 역까지 연장되는 1호선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2. 4. 네트워크 2011과 에글린턴 웨스트선 계획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 들어, 토론토 교통국 (TTC)은 '네트워크 2011' 계획을 통해 세 개의 새로운 지하철 노선을 제안했는데, 그 중 하나가 에글린턴 웨스트 선이었다.[19] 이 노선은 에글린턴 웨스트역을 주요 환승역으로 삼아 서쪽으로 뻗어나갈 예정이었다. 1985년에 발표된 이 계획은 에글린턴 애비뉴를 따라 버스 전용 도로를 건설하고, 나중에 지하철로 전환하는 방안을 포함했다.[14]

1994년, 온타리오주 정부의 지원으로 에글린턴 웨스트 선 지하철 공사가 실제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95년, 마이크 해리스가 이끄는 온타리오 진보보수당 정부가 선출되면서 이 프로젝트는 취소되었고, 역 아래에 굴착되었던 일부 터널은 다시 메워졌다.[19]

2. 5. 트랜싯 시티와 5호선 에글린턴 (2000년대 ~ 현재)



2007년, 토론토시는 트랜싯 시티 계획을 발표하면서 에글린턴 애비뉴를 따라 경전철을 건설하는 계획을 포함시켰다.[20] 2010년, 롭 포드 토론토 시장의 취임으로 트랜싯 시티 계획이 취소될 위기에 처했으나,[20] 에글린턴 경전철 공사는 계속 진행되었다.

브렌트클리프와 케네디 사이의 새로운 지하 구간 설계가 이루어지는 동안, 이미 지하로 지어지기로 한 블랙크리크에서 브렌트클리프 구간의 공사가 2011년에 착공하였다. 착공식은 2011년 11월 9일에 킬스데일 공원에서 롭 포드 시장과 돌턴 맥귄티 주지사의 참석 하에 이루어졌다.[20] 한편, 토론토시의회는 에글린턴 경전철을 완전 지하화하는 데 예산이 걷잡을 수 없이 불어날까 걱정하여, 2012년 12월 6일에 시의회는 비상 회의를 열어 시장과 메트로링스가 맺은 합의를 파기하였고 메트로링스는 경전철 계획안을 원안으로 복귀하였다.[20]

2012년 12월, 에글린턴 애비뉴 북쪽에 있던 환승 주차장에 경전철 공사를 위한 터널굴착기가 들어서면서 환승 주차장이 폐쇄되었다.[22] 본격적인 공사는 2013년에 경전철 터널을 굴착하면서 시작되었다.[23] 역 내부 공사는 터널 굴착이 끝난 2017년 초반부터 시작하였으며,[23] 2023년에도 한창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1978년, 이 역은 세인트 조지 역에서 윌슨 역까지 연장되는 1호선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에글린턴 웨스트 역은 에글린턴 웨스트 선(에글린턴 크로스 타운 선과는 다름)의 환승역으로 계획되었다. 이는 1985년 토론토 교통국이 수립한 네트워크 2011 계획에 포함된 3개의 지하철 노선 중 하나였다. 이 프로젝트는 마이크 해리스가 이끄는 온타리오 진보 보수당 정부가 선출된 후인 1995년에 취소되었다. 이후 역 아래에 굴착된 소량의 터널은 다시 채워졌다.

2005년 10월부터 이 역은 휠체어 접근이 가능하다.[3]

2015년 4월 18일과 19일 주말에 터널굴착기 데니스와 리아는 동쪽 스테이징 지역에서 인출된 후 대형 트럭 트레일러에 실려 서쪽 스테이징 지역에서 재출발했다.[5] 두 스테이징 지역은 각각 새로운 역 입구의 위치가 될 것이다.[7]

2. 6. 시더베일역으로의 역명 변경 논란

2015년 11월 24일, 메트로링스는 경전철 개통 이후 새 역명이 기존 역명과 겹치거나 혼선을 주지 않도록 에글린턴 웨스트역 이름을 시더베일역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13] 시더베일은 에글린턴과 배서스트 근처의 부유한 동네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이는 리틀 자메이카와 연관이 있는 에글린턴 웨스트에서 거리를 두겠다는 발표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토론토에서 그리스타운이나 코르소 이탈리아 (Corso Italia)와 같이 특정 민족의 지역으로 조성한 경우도 여럿 있으나, 비교적 저소득층이고 흑인들이 밀집한 리틀 자메이카의 경우에는 역명을 바꿔서 흔적 지우기에 급급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었다.

3. 역 특징

에글린턴 웨스트역은 1호선 영-유니버시티5호선 에글린턴 승강장이 지하에서 교차하는 구조로, 1호선 승강장은 지상층과 함께 두 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5호선 개통 시에는 3개의 출입구가 신설될 예정이며, 경전철 터널은 1호선 승강장 바로 밑을 지나가고 경전철 승강장 동쪽 끝에는 회차 선로가 설치된다.[23][24]

3. 1. 구조

역 건물은 에글린턴 애비뉴 웨스트와 앨런 로드 램프 사이에 있으며, 지상층에는 대합실, 매표소, 버스 터미널이 있다. 1호선 영-유니버시티 승강장은 지하에 있고, 5호선 에글린턴 승강장은 1호선 승강장 아래에 있다.[24]

5호선 개통 후, 에글린턴 애비뉴 북쪽에 두 개의 출입구가 추가될 예정이다. 하나는 앨런 로드 진입 램프 바로 동쪽에, 다른 하나는 앨런 로드 출구 램프 바로 서쪽에 위치할 것이다. 에글린턴 애비뉴 남쪽에는 비상구 또는 추가 출입구가 설치될 가능성이 있다.[23]

5호선 터널과 승강장은 1호선 승강장 바로 밑으로 지나가며, 경전철 승강장 윗층에는 1호선 선로를 따라 두 군데로 나뉜 새로운 지하 대합 공간이 생긴다. 경전철 회차 선로는 경전철 승강장 동쪽 끝에 설치된다.[23]

3. 2. 건축 양식

에글린턴 웨스트역은 아서 에릭슨이 설계하였다.[25] 지상층의 대합 공간과 매표소는 여덟 개의 둥근 기둥이 받치는 콘크리트 틀로 지탱되며, 콘크리트 천장은 커다란 판으로 출입구에 돌출되어 있다. 유리 커튼월을 설치하여 역 건물이 붕 떠있는 듯한 느낌을 주었고, 내부에는 승강장까지 햇빛이 들어오도록 설계되었다. 에글린턴 웨스트역은 모래 분사 콘크리트와 벽돌을 벽 마감재로 적극 활용하였는데, 이는 타일로 마감재 처리를 한 1호선과 2호선의 다른 역들과는 대비된다.

역 북쪽 끝은 알렌 로드의 중앙에 위치하여 승강장은 반지하로 지어졌다. 역을 설계한 건축가는 이 점을 활용하여 승강장에 창문을 추가하였다. 본 방면 승강장에서는 창문 밖으로 알렌 로드의 경치를 볼 수 있지만, 반대쪽 승강장은 간유리로 반투명하다. 이로 인해 승객들은 알렌 로드 북쪽으로 속도를 내는 차량들을 볼 수 있으며, 고속도로가 끝나는 반대편에서 차량들이 서행하는 부분은 간유리로 가려졌다.

2009년 7월, 토론토 교통국(TTC)은 2000년부터 물이 새던 지붕을 수리하면서 역 북쪽에 85만달러를 들여 녹색 지붕을 설치하였다. 녹색 지붕은 유지비를 절약하고 수명을 40~50년으로 늘리며, 열섬 효과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녹색 지붕에는 835m2의 손이 덜 가는 돌나물을 심었다.[26]

Photo of a largely completed modern light rail station entrance with glass panelling.
건설 중인 시더베일역 부출입구


Photo of a glass panelled station entrance with orange accenting
2024년 1월 시더베일역 세 번째 출입구 사진

3. 3. 미술 작품

역 승강장에는 제럴드 젤딘의 벽화 《여름 노면전차》 (Summertime Streetcar)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작품은 PCC 전차를 여러 각도에서 묘사한 2층 높이의 에나멜 벽화이다.[19]
''Summertime Streetcar''


5호선 에글린턴선 개통 후에는 더글라스 쿠프랜드의 작품 《슈퍼 신호》 (Super Signals)가 전시될 예정이다. 이 작품은 흑백 사선 바탕에 밝은 색상의 동심원을 그린 알루미늄 판으로, 기존의 길 안내 표지판을 과장한 것이다.[27]

4. 연결 교통편

1924년 11월 19일, 토론토 교통국요크 지역의 대중교통 확장을 위해 길버트 애비뉴에서 에글린턴 애비뉴를 따라 동쪽으로, 오크우드를 따라 남쪽으로 세인트클레어 애비뉴까지 가는 노면전차를 처음 운행했다.[17] 1930년에는 에글린턴 버스가, 1936년 10월에는 영에서 오크우드까지 에글린턴 웨스트 버스도 운행을 시작했다.[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토론토가 커지면서 에글린턴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 1930년대 말과 1940년대 초, 페이프와 댄포스에서 에글린턴 애비뉴의 길버트 루프까지 노면전차를 운행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나 무산되었고,[18] 1954년 3월 30일 영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버스가 자리를 잡았다.[18] 1960년 1월, 교통국은 오크우드 노면전차 운행을 중단하고 32번 에글린턴 웨스트 버스를 트롤리버스로 바꾸려 했지만, 포리스트힐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8]

에글린턴 웨스트역에서는 다양한 토론토 교통국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4. 1. 버스 노선

역 버스 승강장에 대기 중인 63번 버스


에글린턴 웨스트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모든 주간 버스 노선은 역 내에 있는 버스 승강장에서 갈아탈 수 있으며,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심야 시간대에는 332번 에글린턴 웨스트 심야버스를 역 밖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승차할 수 있다. 지하철이나 일반 버스에서 심야 버스로 갈아타는 경우에는 환승 표 등 요금을 냈다는 증명이 필요하다.

노선명칭추가 정보
32A/C에글린턴 웨스트동쪽 방향 에글린턴역 방면
32A서쪽 방향 렌포스역 방면
32C서쪽 방향 제인 스트리트 및 로렌스 애비뉴 웨스트 방면(트레더웨이 드라이브 경유)
32D서쪽 방향 제인 스트리트 및 에메트 애비뉴 방면
63A오싱턴남쪽 방향 리버티 빌리지 방면
109B레이니북쪽 방향 마를리 애비뉴 및 플레밍턴 로드를 경유하여 넵튠 드라이브 방면
109C북쪽 방향 마를리 애비뉴 및 바르나 드라이브를 경유하여 넵튠 드라이브 방면
332에글린턴 웨스트블루 나이트 서비스; 동쪽 방향 에글린턴역 방면 및 서쪽 방향 렌포스 드라이브 및 피어슨 공항 방면
363오싱턴블루 나이트 서비스; 남쪽 방향 전시 루프 방면
5호선 에글린턴 개통 시 시행 예정[12]
34에글린턴서쪽 방향 마운트데니스역 방면 및 동쪽 방향 케네디역 방면 (이 역에서 32번 에글린턴 웨스트 버스 노선의 모든 지선을 대체)
90남쪽 방향 세인트클레어 웨스트역 방면
164캐슬필드서쪽 방향 킬스데일역을 경유하여 마운트데니스역 방면


5. 주변 지역

에글린턴 애비뉴는 1794년에 영 스트리트가 심코호까지 이어지면서 놓여진 토론토의 세 번째 동서축 측량 도로이다.[14] 1850년에 이 지역은 새로 설립된 지자체인 요크 타운십의 에글린턴빌리지로 알려져있었다.[14]

영 스트리트 서쪽과 블루어 스트리트 북쪽에 있는 요크 타운십은 역사적으로 이민자들이 머물렀던 곳으로, 20세기 초반에는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독일계 이주민들이 세인트클레어 남쪽에 머물렀고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캐나다인을 포함한 흑인들이 요크 타운십 서쪽에 살고 있었다.[15] 에글린턴웨스트 지역에는 자메이카를 포함한 카리브해 등지에서 캐나다로 건너온 이민자들이 정착하였는데, 이 지역에는 여전히 흑인과 다른 유색인종들의 비중이 높으며 이는 주거 차별에 따라 흑인 인구가 특정 지역에 몰리게 되었다.[16]

주변 랜드마크로는 요크-에글린턴 BIA, 리틀 자메이카, 오크우드-본 및 휴무드-시더베일 지역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glinton Crosstown won't open until 2024, construction group to take legal action: Metrolinx https://toronto.city[...] 2023-05-16
[2] 뉴스 Eglinton West station to become 'Cedarvale' because of Crosstown LRT https://www.thestar.[...] 2015-11-24
[3] 뉴스 Eglinton West Station http://myttc.ca/egli[...] MyTTC.ca 2015-05-08
[4] 웹사이트 Eglinton West TTC commuter lots closing Dec 21st for conversion to construction staging http://www.thecrosst[...] Metrolinx 2012-12-17
[5] 웹사이트 Crosstown LRT Tunnel Boring Machines Successfully Moved http://urbantoronto.[...] UrbanToronto 2015-04-20
[6] 웹사이트 Eglinton West Station (Station Description) http://www.ttc.ca/Su[...]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7-11-27
[7] 웹사이트 Cedarvale (formerly Eglinton West) Station http://www.thecrosst[...] Metrolinx 2016-10-13
[8] 웹사이트 Eglinton West Subway Station http://www.tobuilt.c[...] Bob Krawczyk 2009-06-26
[9] 웹사이트 Green roof takes root at Eglinton West https://www.thestar.[...] Toronto Star 2009-08-04
[10] 웹사이트 Artists and Artworks http://thecrosstown.[...] Metrolinx 2018-02-09
[11] 웹사이트 63 Ossington https://transit.toro[...] Transit Toronto 2016-12-25
[12] 웹사이트 2024 Annual Service Plan https://cdn.ttc.ca/-[...]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3-11-17
[13] 뉴스 Eglinton West station to become 'Cedarvale' because of Crosstown LRT https://www.thestar.[...] 2015-11-24
[14] 서적 North Toronto Boston Mills Press 1992
[15] 서적 The Underground Railroad: Next Stop, Toronto! Dundurn Press
[16] 서적 The Caribbean Diaspora in Toronto: Learning to Live with Rac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7] 웹인용 Route 5 - The Eglinton-Crosstown LRT https://transit.toro[...] 2019-10-10
[18] 웹인용 32 Eglinton West https://transit.toro[...] 2020-04-01
[19] 웹인용 The Spadina Subway https://transit.toro[...] 2019-11-12
[20] 웹인용 Route 5 - The Eglinton-Crosstown LRT https://transit.toro[...] 2019-10-10
[21] 웹인용 Inflation Calculator https://www.bankofca[...]
[22] 웹인용 Eglinton West TTC commuter lots closing Dec 21st for conversion to construction staging http://www.thecrosst[...] 메트로링스 2012-12-17
[23] 웹인용 Backgrounder: Cedarvale Station http://thecrosstown.[...] 메트로링스
[24] 웹인용 Eglinton West Station: Station Description http://www.ttc.ca/Su[...]
[25] 웹인용 Mod Toronto: Art and architecture on the Spadina subway http://spacing.ca/to[...] 2013-07-03
[26] 뉴스 Green roof takes root at Eglinton West https://www.thestar.[...] 2009-08-04
[27] 웹인용 Artists and Artworks http://thecrosstown.[...] 메트로링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